11. 사면운동의 유형이 아닌 것은?

낙하

전도

활동

측방유동

인장균열

인장균열은 붕괴활동면이 발생된 비탈면이 연성적으로 거동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비탈면 불안정성의 요인임

 

12. 토사사면의 붕괴형태가 아닌 것은?

붕락

회전활동

병진활동

전도파괴

복합적 활동

전도파괴는 암반사면의 붕괴형태

 

13. 암반사면의 파괴형태가 아닌 것은?

원호파괴

평면파괴

회전활동

쐐기파괴

전도파괴

회전활동은 토사사면의 붕괴형태

 

14. 급경사지의 정의중 사면 종류에 맞는 분류는?

자연비탈면, 인공비탈면 또는 이와 접한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경사도 34도 이상 높이 30m이상의 자연비탈면

경사도 34도 이상 높이 5m이상 길이 10m이상의 인공비탈면

고속국도에 접한 자연비탈면

일반국도에 설치된 인공비탈면

 

15. 사면의 불안정 요인에 대하여 설명이 다른 것은?

사면 불안정한 외적요인으로는 지형 변화 및 침식이나 인위적인 절토 등

사면의 외적 불안정 요인은 하중의 증가와 강우 등 이다.

사면불안정의 내적요인은 진행성 파괴, 풍화작용 등이 있다.

사면의 내적 불안정 요인은 강우시 물의 침투로 인한 침식 등이다.

사면의 불안정 요인 중 강우로 인한 지하수위상승은 큰 문제점이 아니다.

 

  
  

16. 급경사지 붕괴 원인이 아닌 것은?

무분별한 개간

장기강우 이후의 집중호우

낙석 방지망 설치

사면의 지형 및 지반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복구공사

급경사지내 지하수 용출

낙석방지망은 붕괴원인이 아닌 대책임

 

17. 급경사지 일제조사시 결함인자가 아닌 것은?

비탈형상

옹벽

배수로상태

토사비탈

이격거리

결함인자 : 토사비탈, 배수로상태, 옹벽, 비탈형상, 식생밀도, 용출수발생, 상부외력

피해인자 : 이격거리, 매몰, 유실피해

 

18. 급경사지 계측의 필요성이 아닌 것은?

토사유출량 분석

재난발생 전조 징후포착

급경사지 안정성 파악

안전진단의 신뢰성 확보

급경사지내 지하수 용출

 

19. 확률론적 산사태 예측기법의 영향인자가 아닌 것은?

암종

경사도

경사위치

경사길이

임상

확률론적 산사태 예측기법 주요 영향 인자 : 경사길이, 모암, 경사위치, 임상, 사면형, 토심, 경사도


  
  

+ Recent posts